T(N) = n^2 + 2n + 1이라고 하면 최대 차수인 2차항의 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은 극한으로 보냈을 때 무의미해지게 된다. 따라서 시간복잡도 상에서는 T(N) = n^2로 볼 수 있다. Big-Oh Notation 상에서는 O(n^2) 로 표현한다.
Big-Oh Notation은 두개의 함수 f(n)과 g(n)이 주어졌을 때 모든 n>=n0에 대하여 f(n)<= cg(n)을 만족하는 두개의 상수 c와 n0가 존재하면 f(n)의 Big-O는 O(g(n))이 된다는 것이다.
Big-Oh Notation은 T(n)이 다항식으로 표현이 된 경우 최고차항의 차수가 된다.
Big-Oh Notation 에서 시간 복잡도는 다음과 같이 그려진다.
O(1) < O(logn )<O(n)< O(nlogn) < O(n^2)
반응형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구조론] 캐시 메모리(목적, 캐시 기억장치, 캐시 적중률-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관계) (1) | 2024.01.09 |
---|---|
[운영체제] 쓰레드 개념, TCB(쓰레드 제어 블록)에 대하여 (0) | 2024.01.08 |
[컴퓨터구조론] 기억장치 계층 구조도, 구분(내부/외부) (0) | 2024.01.07 |
[컴퓨터구조론] 마이크로프로그래밍의 정의 , 수직적/수평적 마이크로그래밍 개념 (0) | 2024.01.06 |
[운영체제] Pipe에 관하여(정의, 일반& 지명 pipe의 구분 및 비교) (0)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