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구동 시에 프로그램은 메인메모리를 통해 데이터 i/o를 진행한다. 그리고 Secondary storage(디스크)에서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파일만 메인메모리에 적재시켜서 쓰는 구조이다. 데이터 구조의 접근시간은 메인메모리 영역에서 진행되고 단 한번의 접근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independent 하다고 볼 수 있고, 그에 반해 File system은 데이터 위치에 의존적이라고 볼 수 있다
반응형
'IT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DROP, TRUNCATE, DELETE 비교 (0) | 2023.11.06 |
---|---|
[자료구조] 자료구조의 분류(선형구조, 비선형구조, 파일구조, 단순구조) (0) | 2023.11.04 |
[sql] 반정규화에 대하여 (분류) (0) | 2023.11.04 |
[sql] 정규화(1NF,2NF,3NF)에 대하여 (0) | 2023.11.02 |
[sql]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에 관하여(의미, 예시 중심으로)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