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버스 2

[컴퓨터구조론] 시스템 버스의 기본동작 , 버스 분류(동기/비동기식)

시스템 버스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 쓰기 동작 순서 1) 버스 마스터가 버스 사용권을 획득 2) 버스를 통해 주소와 데이터 및 쓰기 신호 전송 - 읽기 동작 순서 1) 버스 마스터가 버스 사용권 획득 2) 주소와 읽기 신호를 보내고,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까지 대기 버스 동작의 타이밍에 따라 버스는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나뉜다. 동기식 버스는 시스템 버스에서 모든 버스 동작들이 공통의 버스 클럭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데에 반해, 비동기식 버스는 버스 동작들의 발생 시간이 관련된 다른 버스 동작의 발생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IT/Computer Science 2024.01.13

[컴퓨터구조론] 시스템 버스에 대하여(주소버스, 데이터버스, 제어 버스)

CPU와 시스템 내의 다른 요소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로서, 시스템버스를 이용한다. 시스템버스의 기본 구성은 1) 주소버스 2) 데이터 버스 3) 제어 버스이다. 1) 주소 버스 CPU가 외부로 발생하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 선들의 집합으로서, 주소 선의 수는 CPU와 접속될 수 있는 최대 기억장치의 용량을 결정한다. EX) 주소버스의 비트 수 = N이면, 2^N개의 기억장소의 주소 지정 가능 2) 데이터 버스 CPU가 기억장치 혹은 I/O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선들의 집합이다. 데이터 선의 수는 CPU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를 결정한다. EX) 데이터 버스 폭이 N비트이면, CPU와 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은 한번에 N비트씩 가능하다. 3) 제어 버스 C..

IT/Computer Science 2023.12.24
반응형